심사 간호사

[혈액종양내과 심사간호사]chpater 4. 난소암 심사 방법

슨미미 2024. 7. 2. 11:17
반응형

난소암이란 여성 생식과 호르몬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

난소암의 투여원칙

Epithelial cell carcinoma란

상피세포암이란 세포형태에 따라 조직학적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장액성 난소암(Serous carcinoma)

육안적으로 난소표면의 유두돌기 증식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급속한 증식으로 조직괴사와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측 난소에도 전이가 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난소 양측성으로 발생합니다. 또한 악성인 장액성 선암은 특이적으로 CA-125(cancer antigen-125)를 분비하기 때문에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점액성 난소암(Mucinous carcinoma)

양성의 경우 육안적 소견으로 표면이 매끈하며 내부는 투명하고 끈끈한 점액성 물질로 차 있습니다. 2010년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08년 발생건수는 171건으로, 전체 난소암의 9.4%를 차지하며 흔히 발생하는 난소암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액성 난소암보다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예후가 매우 불량한 형태의 점액성 난소암도 있습니다.

· 자궁내막양 난소암(Endometroid carcinoma)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과 유사하며, 10~20%에서 자궁내막증이 관찰됩니다. 육안적 소견은 두꺼운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단면에 연홍색 출혈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이 악성이며 호발 연령은 40~50대입니다.

· 투명세포암(Clear cell carcinoma)

매우 희귀한 종양으로 50~60대가 대부분입니다. 특징적으로 투명세포암은 자궁내막증 및 자궁내막암과 조직발생학적으로 유사하며,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암이 함께 관찰되기도 합니다.

육안적 소견은 다양하며, 다른 난소 상피세포암과 구별이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표면이 매끈한 피막으로 덮혀있고 견고하며, 세포질 내에 투명한 물질이 차 있습니다.

· 브레너 종양(Malignant brenner tumor)

브레너 종양은 거의 대부분이 양성 종양이며, 악성 종양은 흔치 않습니다. 발생연령은 25~71세로 다양하나, 대부분 50세 이상입니다.

일반적으로 난소 한쪽에서 발생하며, 양측성인 경우는 10% 이하입니다.

· 미분화세포암(Undifferentiated carcinoma)

상피세포가 분화능력보다 증식능력이 강할 때 발생하는 난소 상피세포암으로, 분화가 덜 되어있기 때문에 어떤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세포자체의 악성변화와 세포분열이 심하며, 모든 난소 상피세포암 중 예후가 가장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미분류 난소암(Unclassified carcinoma)

두 가지 세포 유형의 중간 상태로 특별히 분류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sex cord-stromal tumor

난소 또는 고환의  조직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과립세포종양(granulosa cell tumor), 세르톨리세포종양(Sertoli cell tumor), 라이디히세포종양(Leydig cell tumor)으로 구성된다. 성끈종양(sex cord tumor), 성끈 생식샘 기질종양(sex cord gonard stromal tumor)이라고도 한다.

 

1. 난소암의 병기

문제시 삭제

참고) FIGO(세계산부인과학회) staging

Figure - available from: Abdominal Radiology

2. 심사사례

난소암에는 특이한 케이스가 많았는데요

예를 들면, CUPS로 중증등록 후 난소암으로 의심하 Paclitaxel+Carboplatin 을 투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어요.

사례1.

ex) CUPS로 내원 후 타병원에서 전원되어 시행한 Pelvic MRI 및 ascite cytology상 Metastatic carcinoma 등 확인, 별다른 원발 부위를 시사할 수 없어 원발을 난소암으로 결정 후 Paclitaxel + carboplatin 투여 하 인정되었습니다.

사례2.

MMT 로 Ovarian ca(pleural meta) stage4진단 후 TC 사용함, 난소암은 원래 조직학적으로 상피내암만가능하나 MMT가 상피내암에서 기원한 암으로 소명하여 청구함 "심결아직 안옴"

* MMT(Malignant Mixed mullerian tomor)는 carcinoma와 sarcoma를 포함하는 혼합조직으로 Carcinoma는 상피세포에서 유래하며 sarcoma는 결합조직(뼈,연골,신경 등)에서 유래함.

참고)

CUPS(carcinoma of unknown primary site)원발부위 불명 암종

ACUP(adenocarcinoma of unknown primary site):원발부위 불명 선암

MUO(metastasis of unknown origin) 원발부위 불명암

사례 3.

조직검사 결과 상 Adult granulosa cell tumor로 난소암 진단 후 생식세포종양 6번 요법 BEP 투여함

종양학 국제 질병분류 코드집에서는 Adult granulosa cell tumor 경우 남자는 /1 경계성종양 여자일 경우는 /3 악성 C코드로 분류된다.

사례4.

Ovarian ca로 TC 요법 시행 후 Relapse로 palliative gemcitabine+carboplatin(2022.12.13 ~ 2023.12.01) 투여함

이후 PR로 유지요법인 niraparib(23.12.22-24.05.03) 투여 후 APCT상 PD되어 이전의 Gemcitabine+carboplatin 요법을 사용할 수 있나.

→ 마지막 약제 투여 후 6개월 이전의 PD는 실패한 약제, 6개월 이후의 PD는 효과가 있던 약제로 SD였던 CT결과지만 소명하면 재투여 가능.

Q. 그러나 중간에 유지요법이 있는경우는 유지요법의 PD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이전의 약제 PD로 봐야하는지?

A. 유지요법은 차수로 인정이 안되며 GC투여 후 6개월 이전의 PD는 중간에 유지요법이있다고 하더라도 GC의 PD로 볼 수 있음

6개월 이후의 PD라면 유지요법으로 SD라 하더라도 SD였던 CT기록지를 첨부하면 효과있는 약제로 투여 가능

본원은 6개월 + 19일 이후 PD로 6개월 이후의 PD로 볼 수 있으나 이같이 애매한 경우는 자문하 심사한다고함 .

 
반응형